

"기존 혁신도시로" vs "다른 장소로"
희망고문만 하다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한 것이 공공기관 2차 이전 사업입니다.
최근 대선이 진행되면서
새정부가 들어서면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재개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업이 다시 시동을 걸 경우
기존 혁신도시와 새로운 이전 장소를 놓고
지역간 다툼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변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980만㎡ 부지에 들어선 전북 혁신도시.
지난 2013년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을 시작으로
12개 공공기관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직원들이 이주하면서
2만 8천 명의 계획인구도 달성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1분기
집합 상가 공실률은 25%나 돼
여전히 미완의 도시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완주군을 비롯한
전국 혁신도시가 있는 자치단체들은
정부가 공공기관을 추가 이전할 경우
기존 지역에 우선 배치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완주군 관계자 :
1차 이전했던 곳에다가 다시
2차 공공기관도 이전해 오면 시간적인 것도
비용적인 것도 조금 절감시킬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시군들도 생존을 위해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고 있습니다.
김제시와 순창군은 마사회 유치를 놓고
이미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이전을 둘러싼 혼란은
마침 대선을 맞아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후보들이 추가 이전을 약속했지만,
여전히 구체적인 대상과 시기, 방법은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북자치도는 2차 이전의 밑그림이 될
국토부 관련 용역 결과가 연말에 나오면,
이걸 보고 대응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이현서 / 전북자치도 정책기획관 :
어느 정도 방향이 나올 거라고 생각을 하고
저희도 거기에 방향이 나오면 또 대응책을 마련해야 되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김관영 지사가 후보 시절
제2혁신도시를 익산에 유치하겠다고 공약한
만큼, 관련 논의가 본격화하면
지역간 갈등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공공기관 지방이전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선택과 집중이냐,
아니면 지역내 또다른 균형발전이냐?
한동안 중단돼 있던
2차 공공기관 이전이 다시 시동을 걸면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습니다.
JTV NEWS 변한영입니다.
변한영 기자 bhy@jtv.co.kr(JTV 전주방송)
퍼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