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 NEWS > 전체

전체

복지부 환자 이송 시스템 ...'치명적 결함'

2022.09.22 20:30
오늘도 권역 외상센터 속보 이어갑니다.

교통사고를 당한 30대 청년이
병원을 찾아서 3시간을 헤매다
결국 다리를 잃었는데요

처음부터 원광대병원 외상센터나
전주의 병원으로 가지 않고
천안의 단국대 외상 센터로 바로 갔다면
최악의 결과는 피했을지도 모릅니다.

이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보건복지부가 환자를 신속하게 이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놓았지만 심각한 결함을
안고 있습니다.

변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지난 2016년 전주에서 차에 치인 뒤
병원을 찾아 헤매다 목숨을 잃은
두 살 아이.

보건복지부는 이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2014년 도입된 전원조정센터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권준욱/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2016년 당시):
추가로 개선 대책과 더불어서 정밀조사를 통해서 (추가 조치를 검토할 예정입니다.)]

(CG)의사가 일일이 병원마다 전화해서 환자
상태를 설명하는 방식을 개선하겠다는 것입니다.

그 대안으로 나온
응급환자 전원 정보시스템은
특정 외상센터나 응급센터가 환자 치료가 어려울 경우, 전국의 병원과 공유하는
시스템에 환자 정보를 입력해서 치료
가능한 병원이 환자를 수용하는 방식입니다.(CG)
하지만 이 시스템은 치명적인 결함을
안고 있습니다.

3시간 넘게 헤매다 다리를 잃은 청년의
경우, 119 구급대는 일일이 전화를
걸어서 병원을 알아봤습니다.

환자가 병원에 도착했을 때만
병원 측이 이 응급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해서 환자 정보를 다른 병원과
공유해서 치료 가능한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입니다.

원광대 외상센터도 이 청년이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전화로 문의가 왔기 때문에
치료를 할 수 없다는 것만 통보했고
이 시스템을 통해 치료가 가능한
다른 병원을 알아보지 않은 것입니다.

[원광대병원 전북권역외상센터 관계자(음성변조):
(치료 전문의가) 없다고 하니까 그 소방관이 그쪽으로 간 거잖아요. 그게 안내한 거나 마찬가지죠.]

더 큰 문제는 의료 현장에서
이 시스템을 기피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외상센터들이 24시간 응급환자 정보
시스템을 모니터링 하는 것도 어렵고
무엇보다 외상센터들이 환자 수용에
소극적이기 때문입니다.

운영 기관인 중앙응급의료센터도
이런 문제점을 인정합니다.

[중앙응급의료센터 관계자(음성변조):
그 시스템은 본인이 직접 메시지 써야지 사진 찍어 올려야지 조금 귀찮으신 것도 조금 있고요. 이 시스템을 잘 활용하게 하려면 당근이 필요한 거죠. 보상이 현실적으로 오면 열심히 하시겠죠.]

1분 1초를 다투는 환자의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해 도입된
응급 환자 전원 지원 정보시스템!

하지만 현장의 실정과는 동떨어져 있고
정작 외상센터들은 이 시스템을
외면하고 있어서,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JTV NEWS 변한영입니다.
(JTV 전주방송)
퍼가기
변한영 기자 (bhy@jtv.co.kr)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