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 NEWS > 전체

전체

중증외상환자 이송...'전화에 의존'

2022.10.05 20:30
다리를 다친 청년을 이송한 구급 대원이
병원의 일반 직원에게 이송을 문의했다가
30분을 허비했다는 소식 지난주에 전해드렸죠.

당시 구급 대원이 환자의 상태를 설명하고,
병원을 알아보는데 의존했던 건
업무용 휴대전화였습니다.

소방본부와 보건복지부에는 환자 이송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있지만 전화에 기댈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변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지난 6월, 충남 보령에서 다리를 다친
30대 남성을 이송한 서천소방서 구급대.

병원에 일일이 전화해
환자 수용 여부를 확인하고,
치료를 할 수도 없는 병원에 이송해서
30분이란 골든타임을 허비했습니다.

소방의 중증외상환자 이송 체계를
살펴봤습니다.

구급 대원 표준 지침을 보면 가장 가까운 권역외상센터 이송이 원칙입니다.

병원 선정이 어려우면,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상주하는 지역 소방
본부의 구급상황관리센터에 요청하도록
돼 있습니다.

그러나 영상 시스템이 없어 환자의 상태를
구급상황센터에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때문에 구급상황센터를 이용하기보다는
구급 대원이 직접 전화를 걸어서 병원을
찾아 헤매는 것입니다.

[A 소방본부 관계자(음성변조):
병원 선정 관련해서는 의료지도 의사한테 유선상으로 지도를 받지 거의 영상으로는 하지는 않고요, (이송 병원 문의를) 현재는 모든 것들이 일일이 전화를 해봐야 되는 그런 상황입니다.]

보건복지부의 응급의료포털이라는
시스템도 있지만 실효성은 의문입니다.

응급의료포털을 검색하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전체 병원의 치료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지만, 실시간 정보가 아닌
경우가 있어서 직접 전화로 문의해야
합니다.

[B 소방본부 관계자(음성변조):
'E-GEN'(응급의료포털) 시스템 자체가 간혹가다 이제 격리 병상이나 병상 정보가 실시간으로 뜨는 게 아니거든요. 그래서 입력하는 게 제대로 안 돼 있으면 저희도 전화를 해볼 수밖에 없어요.]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해
환자 이송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구축돼
있지만, 현장에서는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시스템 전반에 대한
실태 파악과 개선 조치가 시급합니다.
JTV 뉴스 변한영입니다.

(JTV 전주방송)
퍼가기
변한영 기자 (bhy@jtv.co.kr)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