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 NEWS > 전체

전체

터미널 사라지면 생활거점도 몰락...지원 서둘러야

2023.01.18 20:30
농어촌 지역의 버스 터미널은
버스를 이용하는 공간을 넘어
생활의 거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터미널이 민간사업의 영역이지만
공공재이기도 한 이유입니다.

운영난을 겪고 있는 터미널이
최소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하원호 기자입니다.

임실 오수에 있는 버스터미널입니다.

임실 주민은 물론 인근에 있는
남원 덕과와 사매, 장수 산서,
순창 동계 주민들의 이동 거점입니다.

[양금미/남원시 덕과면 : 장날도 오고, 병원에 주로 많이 오지. 병원을... 여기는 따뜻한게 좋아, 다른 건 몰라도 여기는 따뜻한게 좋아.]

코로나19로 승객들이 급감하자
2020년 터미널 사업자가 폐업을 신고했고,
임실군이 터미널을 사들여
위탁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이성심/경기도 남양주시 : 저희는 진짜 항상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다녀서요. 진짜 네 다섯 번 정도는 버스를 갈아 타요. 그래서 항상 여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있었으면 좋겠어요.]

임실군은 터미널 활성화 사업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 공모를 통해 확보한 사업비로
터미널 안에 주민 교류 공간을
만들 계획입니다.

[장진규/임실군 도시재생팀장 : 주민들이 쉬어갈 수 있는 쉼터를 조성하고요. 또 이곳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운동을 할 수 있는 시설, 또 함께 모여서 이야기도 할 수 있는 그런 공유 공간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그동안 비슷한 시도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트랜스 수퍼]
지난 2017년 전북문화관광재단은
문화가 있는 터미널 사업을 추진했습니다.

터미널 시설을 개선하고,
전시와 공연을 열어
터미널을 문화 플랫폼으로 만든다는 계획,

하지만 4개 터미널에 10억 원을 쏟아붓고,
사업은 2년 만에 중단됐습니다.

[전북문화관광재단 관계자 : 아쉬운 거는 공간이 너무나 좋게 변했어요. 그런데 이제 그 공간에 맞는 문화활동이 조금 자발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그래도 3년 이상 관리를 해줘야 되는데 그게 사업이 이제 단절이 됐죠.]

버스 터미널은 이제
벼랑 끝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존폐 기로에 서있는 상황에서
지금처럼 시설 개선 사업비
일부를 지원하는 수준에서는
터미널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김상엽/전북연구원.교통공학 박사 : 이용 편의나 안전시설 같은 경우에는 공공의 투자가 필요합니다. 특히 이동 약자 같은 경우에는 이동 편의 증진에 대한 시설도 역시 공공의 역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터미널이 문을 닫으면 피해는 고스란히
교통 약자들에게 돌아갑니다.

터미널을 중심으로 형성됐던
병원과 목욕탕 등 생활 필수 시설도
함께 무너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농어촌 주민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거점 공간이
사라지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JTV NEWS 하원호입니다.(JTV 전주방송)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하원호 기자 (hawh@jtv.co.kr)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