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행정

김관영 지사

김관영 지사 "소리축제 유감...감사 실시"

소리축제 조직위 문제와 관련해 김관영 도지사가 강한 유감을 나타냈습니다. 김 지사는 충격을 받을 정도로 용납될 수 없는 사안들이라며 감사위원회를 통해 감사를 실시한 뒤 신속하고 단호한 후속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공정과 원칙을 흔드는 행위는 엄중히 조치하겠다며 강력한 윤리 규율을 바탕으로 혁신을 추진해 도민의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원익 기자 woos@jtv.co.kr(JTV 전주방송)

사회·경제

폐플라스틱을 '재생 원료'로

폐플라스틱을 '재생 원료'로

플라스틱이나 폐비닐을 태우지 않고 분해해서 원료로 만드는 공장이 정읍에 문을 열었습니다.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폐플라스틱 처리에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정상원 기자입니다. 폐비닐과 폐플라스틱 더미가 커다란 탱크 안으로 들어갑니다. 24시간가량 열분해 등의 과정을 거치면 옷감이나 플라스틱을 만들때 사용되는 재생 원료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국내 중소 벤처기업이 300도 미만의 저온에서 폐플라스틱 등을 분해해 재생 원료로 만드는 공장을 정읍에 지었습니다. [정영훈/재생원료 생산업체 대표이사 : 태우거나 묻지 않고 일단 친환경적으로,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은 비연소 기술로서 비닐, 플라스틱을 처리해서 나프타를 만드는 그런 기술...] 이 기술을 활용하면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담긴 혼합폐기물을 넣어도 비닐과 플라스틱을 골라서 분해할 수 있다는게 업체 측의 설명입니다. 고열로 태우는 방식보다 유해물질 배출량이 적고, 폐기물 활용 범위도 넓어진다고 덧붙였습니다. [이형근/재생원료 생산업체 부문장 : 대기와 관련된 환경 오염이 굉장히 적다고 보여지고요. 굉장히 고품질의 재생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습니다.] 이 공장은 농업용 폐비닐 등을 공급받아 해마다 6천500톤 가량의 폐기물을 처리할 계획입니다. 이럴 경우 연간 540만 리터의 재생 원료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 해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폐플라스틱은 1천 5백만 톤. 기후위기 속 폐기물 재활용의 필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쓰레기를 원료로 만드는 기술이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JTV뉴스 정상원입니다. 정상원 기자 top1@jtv.co.kr(JTV 전주방송)

교육·문화·스포츠

전북을 위한 주식투자 아카데미 열려

전북을 위한 주식투자 아카데미 열려

전북을 위한 주식투자 아카데미가 전주 치명자산성지 평화의 전당에서 열렸습니다. 건전한 투자 문화 확산과 금융 교육의 중요성을 지역에서부터 실천하자는 취지로 마련된 이번 행사에서는주식시장 정상화의 의미와 향후 투자 방향, 2026년 경제 전망과 투자 전략 등을 주제로 한 강연이 진행됐습니다. 또 안호영 국회의원이 '전북, 부자 되는 금융도시 성장의 길'을 주제로 토크 콘서트도 열었습니다. 정원익 기자 woos@jtv.co.kr(JTV 전주방송)

지역

'군산선교역사관' 다음 달 개관

'군산선교역사관' 다음 달 개관

호남 근대 선교의 발자취를 담은 군산 선교 역사관이 다음 달에 문을 엽니다. 남원시가 교룡산에 시민을 위한 황톳길과 숲길을 조성했습니다. 시군소식, 김학준 기자입니다. 군산 선교 역사관이 다음 달 2일에 문을 엽니다. 군산 선교 역사관은 1903년 윌리엄 전킨 선교사가 군산에 세운 멜볼린 여학교의 외형을 본떠 건축했으며, 근대 선교활동에 쓰인 자료와 문헌이 전시됩니다. 남원시가 교룡산에 산림 치유와 휴식 공간인 달빛 피움길을 만들었습니다. 달빛 피움길은 1.2km의 맨발 황톳길과 1.7km의 숲길로 구성돼 있습니다. [서상훈/남원시 산림녹지과장: 쾌적한 자연 속에서 여가와 힐링을 함께 누릴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 임실군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어려운 주민을 위해 마련한 행복콜 버스.택시 사업이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지난 2016년부터 운영한 이후 지금까지 누적 이용객이 21만여 명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선/임실군 교통행정팀: 앞으로도 주민들의 이동권 보장과 삶의 질 향상에 최선을 다해 교통 여건 개선에 앞장서겠습니다. ] 익산시가 왕궁리 유적에서 미륵사지를 잇는 구간을 문산 김삼룡 선생 길로 명명했습니다. 익산시는 백제왕궁의 역사적 정체성 확립과 미륵사지의 세계유산 등재에 기여한 문산 김삼룡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이름을 지었다고 밝혔습니다. JTV뉴스 김학준입니다. 김학준 기자 reporthak@jtv.co.kr (JTV 전주방송)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