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V 단독·기획

결국 농림부가 나서...말로만 '농생명 도시'

2024.10.18 13:54
임대형 스마트팜 부실 시공으로
청년농들이 빚더미에 앉을 처지가 됐다는
소식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된 건
사업 시행자인 농어촌공사와 함께
자치단체들의 소극적인 대응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결국 농림축산식품부가
관련 기관과 단체들을 불러 의견을 듣고
본격적인 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전북이 미래 농업인을 육성하겠다며
국가 공모 사업을 유치하고도
스마트팜 하나 변변히 운영하지 못해서
또다시 큰 망신살이 뻗치게 됐습니다.

변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지난 2021년 11월 준공 직후부터
118건의 하자가 쏟아진 임대형 스마트팜.

김제시가 공사를 시행한 농어촌공사에
보수를 요청한 횟수만 26차례나 됩니다.

2022년 9월부터 공문을 보냈으니까,
달마다 한 차례 이상 독촉한 셈입니다.

(CG)
김제시가 당시 보낸 공문입니다.

제목에 '긴급'이라고 쓰고
내용에는 '장기간 미조치'라는 표현까지
담아 서둘러 보수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농어촌공사는 묵묵부답.

일부 공문에는
아예 회신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

농어촌공사는 이 문제가 보도된 뒤에도
줄곧 시공사 탓이라는 입장만을 밝혔을뿐 입을 굳게 닫아 왔습니다.

취재진이 공사를 찾자
그제서야 대책을 논의 중이라는 답변을
내놓았습니다.

[한국농어촌공사 전북본부 관계자 :
말씀드리기가 좀 그러고 지금 대처를 하고
있어요. 도하고 시하고, 저희 회사하고
농식품부하고 같이 회의를 하고 있거든요.]

하지만 자치단체들도 이번 사태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김제시가 한 건, 농어촌공사에 항의를 하고 공문을 보낸 수준.

[김제시 관계자 :
한국농어촌공사가 시행 주체가 되기 때문에
원청을 상대로 해서 작업 지시를 하는 것은
조금 안 맞다고 보고 있습니다.]

25억 원을 투입한 전북자치도는
더욱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했습니다.

[전북자치도 관계자 :
실무적으로 계속해서 논의를 해왔고
저희들이 회의를 하고 좀 촉구를 하고
그런 상황이었어요.]

이러는 사이 하자보수 시한인
2023년 12월 31일은 8개월이나 지났습니다.

책임 회피와 소극적 대응으로 핑퐁을 치는
사이 속절없이 시간만 흘러간 겁니다.

결국 농림축산식품부가 나섰습니다.

오늘 전북자치도와 김제시, 농어촌공사와 온실 전문가까지 불러, 현재 상황을 듣고 향후 대응책을 모색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 :
피해 원인이 뭐냐 도대체 이거를 우리가
확인을 하려면 어떤 방법으로 해야 되냐...
그리고 재발방지 하기 위해서 또 어떤 게
필요한지...]

농림부는 이후 현장에서
시공과 감리, 하자 문제까지 종합적으로
살피겠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지역에서 발생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해 중앙 부처까지
나서게 된 상황.

향후 농림부가 진행할
후속 스마트팜 사업이나 다른 공모에서도
전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되는 대목입니다.

전북 농업의 미래를 걸머질 청년들의
불신을 키운 점도 뼈아픈 일입니다.

[김정룡 / 농민회 전북도연맹 부의장 :
정부나 지자체에서 이런 식으로
불성실하게 책임 회피하고 그러면
어떻게 이 정부를 믿고 농사를 지으러
내려오고 무엇을 하겠어요.]

농도를 자처하면서도
미래 농업을 상징하는 스마트팜 하나
제대로 운영하지 못하고,
미래 농업의 주역이 될 청년 농업인들조차
빚더미로 내모는 전북.

전북특별자치도가 내건 슬로건은
농생명산업을 가장 첫줄에 올려 놓은
글로벌생명 경제도시입니다.

JTV NEWS 변한영입니다.
(JTV 전주방송)
    퍼가기

    퍼가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