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리특위 회부' 권고...절차 지연 논란
전북자치도의회 윤리자문위원회가
공무원에게 갑질을 한 박용근 도의원에
대해 윤리특위 회부를 결정했습니다.
민주당도 뒤늦게 전북을 찾아
현장 조사를 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해당 사안이 터져나온지
한 달이 넘어서야 징계절차가 시작되면서
도의회와 민주당이 지나치게 미온적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원익 기자입니다.
박용근 도의원에 대한
윤리특위 회부 여부를 심사하기 위해 열린
전북자치도의회 윤리자문위원회.
대학 교수와 시민단체 등
6명의 민간위원들은 박 의원을 윤리특위에
회부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박용근 의원과 해당 공무원들의 진술이
서로 엇갈리는 만큼, 따져봐야 될 부분이
많다는 겁니다.
[박정희/전북자치도의회 의원 :
이것이 중대 사안인 것 같으니 윤리특위에 넘겨서 자세하게 더 자세하게 조사하기를 바란다...]
문승우 의장은 이번 결과를 참고해
오는 21일 폐회하는 임시회 본회의에서
윤리특위 개최 여부를 보고할 예정입니다.
문 의장은 의장단의 의견을 묻겠지만
박용근 의원을 윤리특위에 회부하겠다는
뜻을 미리 밝혔습니다.
[문승우/전북자치도의회 의장 :
자문위에서 결정이 난 부분이기 때문에
존중을 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고요.
본회의에 보고를 하고 윤리특별위원회에
송부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도의회의 관련 절차는
사안이 터져나온지 한 달이 훌쩍 넘어선
후에야 시작된 셈입니다.
윤리자문위 개최 시기를 놓고
오락가락하면서 절차가 늦어졌기
때문입니다.
윤리특위는 앞으로도 갈 길이 멉니다.
앞으로 석 달 안에 특위가 열리면
자문위에서 징계 수위에 대한 의견을 받아
최종 징계를 결정하고
본회의 표결을 거치는 복잡한 단계를
밟아야 합니다.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윤리감찰단도
이번 주에서야 전북을 찾아 현장 조사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도의회와 민주당의
느긋한 사후 대처로 인해 피해 공무원들의
속앓이만 깊어지고 있는 건 아닌 지
비판의 목소리가 적지 않습니다.
JTV뉴스 정원익입니다. (JTV 전주방송)
퍼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