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 NEWS > 전체

전체

이번엔 시민단체 "금강 해수유통" vs "대안부터"

2022.01.11 20:30
지난 10년 동안
새만금 방조제 못지 않게 해수유통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곳이 금강하굿둑입니다.

그동안 충청남도와 서천군이 주도해온
해수유통 주장에, 이번에는 전북과 충남의
환경단체들이 나섰습니다.

전라북도는 막대한 산업용수 확보와
재해예방 기능의 대안을 마련하기 전에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하원호 기자입니다.

군산과 서천을 잇는 금강하굿둑은
산업용수를 확보하고 홍수를 예방하기 위해
1990년 완공됐습니다.

하지만 그사이 수질은 6등급으로 떨어졌고
회유성 어종의 길목이 막혀 내수면 어업도 무너졌습니다.

[김억수/서천생태문화학교 상임이사 :
수질이 너무 나빠졌습니다. 그래서 농업용수조차 쓸 수 없는 상황이고, 금강 하구에 엄청나게 많은 토사가 쌓이고 있어요.]

전북과 충남의 환경 시민단체들이
금강하구 자연성회복 추진위원회를 꾸리고
해수 유통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CG IN
용수 공급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부분적으로 갑문을 개방해 우선
3km까지 바닷물이 오갈 수 있도록 하고,
장기적으로 취수장과 양수장 4곳을 옮겨
10km까지 해수 유통 범위를 넓히자는
겁니다.
CG OUT

[김재병/금강하구 자연성회복 추진위원회 공동대표 : (해수유통 범위를) 먼저 확인을 하구요. 그 다음에 농업용수를 위해 양수장을 옮겨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런 부분들이 사회적 합의가 된다면 그때는 양수장을 상류로 이동해서...]

하지만 전라북도는
시종일관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오염원의 상당 부분이
충청권 상류에서 내려 온다는 반박과 함께
대안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무엇보다 금강에서 끌어다쓰는 물이
한해 2억 8천만 톤에 이르기 때문입니다.

[신원식/전라북도 농축산식품국장 : 농업용수와 공업용수에 대해서 대안 마련이 선제적으로 돼야 하는게 첫번째고, 저지대 침수 이런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재해를 예방하는 예방 대책, 이런 부분들이 함께 이뤄져야...]

시민단체들은
과거 충청권 자치단체들처럼
이번에도 대선 공약화와 특별법 제정을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JTV NEWS 하원호입니다. (JTV 전주방송)
퍼가기
하원호 기자 (hawh@jtv.co.kr)

공지사항